하드디스크 복구 ▼

하드디스크는 디스크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컴퓨터 구성요소 중의 한 부분으로 디스크 표면을 전자기적으로 변화시켜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비교적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저장장치입니다.
요즘의 컴퓨터 들은 대부분 수백에서 수천 GB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를 기본적으로 장착하여 사용되어 지고 있습니다. 하드디스크는 일련의 ‘디스크'들이 레코드판처럼 겹쳐져 있는 것으로 기스크에는 트랙 또는 실린더라고 불리는 동심원들이 있으며 그 트랙을 세분화한 섹터에 데이터가 전자기적으로 기록되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마그네틱헤드가 각 각의 섹터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읽어 내도록 되어 있습니다. 하드디스크나 하드드라이브는 1분에 4,500번에서 10,000정도로 고속 회전하며 디스크 접근 시간은 1/1000초 단위로 측정됩니다. 이러한 하드디스크도 기계적인 장치이기 때문에 불량이 나거나 또는 사용자의 과실로 디스크 내부에 기록된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복구하는 작업을 하드데이터복구라 합니다.
주요 증상은 크게 논리적인 손상과 물리적인 손상을 나눌 수 있습니다.
논리적인 손상(소프트 웨어 손상) |
---|
▪ 파티션을 삭제 또는 재설정을 한 경우 ▪ 파티션 및 파일시스템이 손상되어 할당되지 않은 영역으로 나오는 경우 ▪ 파티션이나 특정 폴더에 접근하지 못하는 증상 ▪ 동적 디스크로 변형된 경우 ▪ 포맷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는 경우 ▪ 매개변수가 틀렸다는 메시지가 나타나는 경우 ▪ 단순하게 포맷하신 경우 ▪ 스캔디스크가 실행되어 파일 또는 폴더가 사라진 경우 ▪ 바이러스로 인해 파일 또는 폴더가 사라진 경우 ▪ 윈도우 재설치 한 경우 혹은 삭제 후 추가적인 작업을 하신 경우 ▪ 복원cd로 재설치한 경우 ▪ 고스트로 재설치 한 경우 ▪ CHKDSK실행으로 데이터 구조가 변화된 경우 ▪ 기타 보합 손상 |
물리적인 손상(하드웨어 손상) |
---|
▪ 전원공급 시 소음이 발생하면서 인식이 되지 않은 증상 ▪ 전원공급 시 인식은 되나 소음이 발생하면서 부팅이나 복사가 되지 않는 증상 ▪ 정원공급 시 전혀 인식이 되지 않고 소음도 전혀 나지 않는 경우 ▪ 부팅이 느려지거나 부팅은 되나 특정 폴더나 파일에 전혀 접근할 수 없는 경우 ▪ 시스템이 자주 다운이 되는 경우 또는 하드디스크의 칩이나 인터페이스가 탄 경우 ▪ 하드디스크를 떨어뜨린 경우 ▪ 침수 또는 화재로 인해 손상된 경우 |
주요 증상은 크게 논리적인 손상과 물리적인 손상을 나눌 수 있습니다.
하드디스크의 기본원리는 동일하며 인터페이스에 따라 종류가 구분되기 때문에 모든 종류의 하드디스크가 가능합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하드디스크의 제조사는 다음 중 하나일 것입니다.
맥스터, 삼성, 시게이트, 엑셀스토어, 웨스턴디지털, 퀀텀, 후찌즈, 히타치, HP(컴팩), 기타
복구 가능한 하드디스크의 종류
▪ Win7, Win Vista, Win XP, Win95/98, Win NT, Win2000, Win2003
▪ Dos, linux, UNIX, SUN Solaris, Mac
▪ 산업용 장비 OS, 기타
플래시메모리 복구 ▼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드라이브는 디지털기기 발전과 컴팩트하고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이동식 저장장치입니다.
디지컬 카메라, MP3 플레이어, 보이스레코드,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SD카드, 마이크로SD카드, MMC(Multimedia Memory Card), CF(Compact Flash), SM(Smart Media), XD(Extreme Digital-Picture Card), UBS메모리 카드 등 다양한 플래시메모리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고르지 않는 품질, 사용자의 부정확한 사용습관, 실수, 전지적인 원인으로의 손상이 발생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중요한 데이터를 손실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복구 엔지니어의 경험상 아래와 같은 장애요인을 볼 수 있습니다.
▪ 컴퓨터에 연결 시 USB LD에 불이 들어오지 않고 아무 응답이 없으며 메모리 인식불가
▪ 퓨터 화면의 오른쪽 하단에 연결하라는 메시지 나타나지만 연결이 안됨
▪ 인식은 되나 디스크를 삽입하라는 메시지가 뜨면서 드라이브를 열 수 없음
▪ 포맷되지 않았습니다. 포맷하시곘습니까?라는 메시지가 뜸
▪ 사용자 실수의 문서 삭제 및 초기화(포맷) 문제, 바이러스에 의한 손실
▪ 플래시메모리 컴퓨터 연결/제거 시 부주의로 인한 손상
▪ 플래시메모리 컨트롤러불량(X-TAL) 발진기 불량, 정전압 다이오드 불량 등
위와 같은 현상으로 데이터가 손실된 것을 알게 되면 더 이상 추가 작업도 하지 마세요. 그렇지 않으면 더욱 손상되어 복구가 어려워지고 데이터복구가 불가능할 수도 있으며, 만약 반복적인 연결 시 데이터가 기록된 메모리칩이 손상되면 영구히 데이터는 복구할 수 없게 됩니다.
사용자의 실수로 파일삭제 및 포맷을 했을 경우는 추가 작업을 하지 않으면 거의 대부분 사라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으며, 인식불가의 플래시메모리도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칩이 손상되지 않았다면 플래시메모리 전용 복구 장비를 이용하여 메모리칩을 읽어 들어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데이터 복구를 할 수 있습니다.
이 작업은 숙련된 데이터복구 전문엔지니어의 기술력과 첨단 복구장비가 조화를 이룰 때 최상의 데이터 복구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SSD 복구 ▼
SSD(Solid State Disk)는 하드디스크드라비으(HDD)의 플래티 방식과는 달리 플래시메모리 칩을 배열하여 제작도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모양이나 크기 기능은 일반하드디스크와 일치하고 많은 플래시메모리를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 특성을 이용하여 하드디스크처럼 대용량 저장장치로 사용할 수 있으며, HDD와 달리 빠른 데이터 접근 속도와 저전력, 안정성 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어 차세대 저장장치로도 주목 받고 있습니다.
메모리의 속도가 HDD와는 비교되지 않을 만큼 빠르므로 고속의 읽기/쓰기 속도와 Seek time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디만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제품 또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고 특성 상 과전압이라 과전류로 인해 손상되는 경우가 많은 편입니다. 또한 기술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디스크 손상발생 시 하드디스크보다 복구 비용 또한 높은 편입니다.
복구 가능한 증상
▪ SSD의 파티션을 삭제하거나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
▪ SSD를 포맷하거나 재설치 한 경우
▪ 파일시스템이 손상되었거나 고스트 등의 사용으로 데이터를 손실한 경우
▪ SSD가 인식은 되지안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
▪ SSD가 기타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식이 되지 않는 증상

MAC 복구 ▼
MAC 주요증상
▪ 매킨토시가 부팅이 되지 않는 증상
▪ 매킨토시가 마운트가 되지 않는 증상
▪ 데이터를 삭제/포멧한 경우
▪ 파일시스템의 볼륨(Vollum)이 손상된 경우
▪ 파티션 삭제 /손상된 경우
▪ 하드디스크의 물리적인 손상
주의사항
▪ 불량섹터(bad Sector)와 함께 하드디스크가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한 경우는 전원 공급을 자제하셔야 합니디. 하드디스크의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어 데이터복구를 불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 매킨토시 파일시스템은 윈도우 파일시스템과는 달리 특수한 파일시스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칫 복구를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

레이드&서버복구 ▼

RAID의 목적은 크게 세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① 여러 개의 디스크 모듈을 하나의 대용량 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② 여러 개의 디스크 모듈에 데이터를 나누어 한꺼번에 쓰고 한꺼번에 읽는 식으로 입출력 속도를 높이는 것
③ 여러 개의 디스크를 모아서 하나의 디스크로 만들었으니 그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디스크에 장애가 나더라도 최소한 데이터가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
레이드 레벨은 RAIDDO, RAID1, RAIDDO+TAID4, RAID5, RAID6 등이 있습니다.
RAID 구성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유형에 따라 RAID 컨트롤러에 의해 분류됩니다.
서버 /RAID 주용 손상 증상
▪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손상
▪ 레이드 시스템의 재구성
▪ 하드디스크의 교환 후 잘못된 구성으로 인한 손상
▪ 레이드 컨트롤러의 손상
▪ 파일 시스템의 손상
▪ 사용자 실수 등
주의사항
▪ 가급적 하드디스크를 제거하지 말고 시스템(본체)을 보존해야 합니다.
▪ 불가피하게 하드디스크를 제거 시 RAID를 재구성하는 작업 순서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하드디스크에 스티커 등을 부착하여 순서를 기입합니다.
▪ RAID 컨트롤러 각 각의 특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된 컨트롤러와 함께 의뢰하셔야 합니다.

스마트폰복구 ▼
